언제 어디서 시작됐는지, 또 얼마나 지속될지 모르겠지만 정적 사이트 생성 방식의 CMS(?)가 대유행이다. IFAIK, 이 방식의 원조는 21세기 초(!) 펄로 만들어진 blosxom이었고, 널리 쓰이기 시작한 것은 파이썬으로 만든 클론 pyblosxom이었다. 지금도 blosxom과 그 친구들은 여전히 명맥을 유지하고 있지만... 그로부터 십수년이 지나고... 유행은 돌고 돌아... prologue 이 포스트에서 소개할 것은 Hexo라는 정..
주의: 예제 코드 따위 없음! 본의 아니게 시리즈가 되어버린 답사기... 기왕 시작한거 몇 개만 더 해보자. 자바스크립트 Date 는... 20세기에 만들어져서 그런가? 구리다. 너무 구리다. 정말 구리다. 그런 의미에서(어떤 의미?)... 출처: Tasty Chefs-d'oeuvre 자바에선 jodatime을 기본 라이브러리 처럼 썼는데... Node.js에선 뭘 쓰죠? 라고 물으신다면... 일단, 구글에서 javascript date ..
주의: 예제 코드 따위 없음! 출처: 반다이의 야심작(?) Tuttuki Bako job scheduler는 뭐에 쓰는 물건인고? 라고 물으신다면... setTimeout이나 setInterval을 먼저 살펴보시고, 여기서 "몇 밀리초 후에/마다" 대신 좀 더 복잡한 규칙(예: 매주 월요일 새벽 3시)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라이브러리죠. 그 이상도 그 이하입니다. 자바 쪽에서는 Quartz, Spring Batch 같을 걸 썼는데.....
- Total
- 905,971
- Today
- 0
- Yesterday
- 3
- 땅끝마을
- 독후감
- jQuery
- CSS
- Dojo
- web
- Ajax
- 해남
- docker
- 노래
- 자전거
- Java
- ***1/2
- 여행
- 책
- HTML5
- ****
- DeveloperWorks
- nodejs
- **
- ***
- Prototype
- maven
- JavaScript
- Eclipse
- 장필순
- 자바스크립트
- webapp
- 영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