두 정수 변수 x와 y의 값을 임시 변수를 사용하지 말고 바꿔라. 답은: #!geshi x = x + y; y = x - y; x = x - y; 흠 이건 어디서 본거 같긴 하군... 문제 2. 두 문자열 변수 x와 y의 값을 임시 변수를 사용하지 말고 바꿔라. x = x + y; y = x.substring(0, x.indexOf(y)); x = x.substring(x.indexOf(y) + y.length()); 훔 이건 좀 묘하네 문득, ?한수찬교수의 ?애플입문II플러스라는 묘한 제목의 책으로 베이직을 공부하던 기억이 난다. 변수를 무슨 방에 비유해서 장황하게 설명했었는데... 그 긴 설명으로도 전혀 이해가 가지 않았었다. 특히... 두 개의 변수를 바꾸는 방법에 와서는 정말하지 않을 수 없었다...
?Apache~Maven이 버전2로 오면서 많이 깔끔(?)해졌다. 특히 누더기처럼 지저분하던 gelly가 사라진건 좋은데... 그게 없으면 해결 곤란한 것들이 꽤 있다는 것이 현실적인 문제. 그 중의 하나가... ?Apache~Ant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경우다. 지금 얘기하는 것은 ant의 수많은 타스크 중에서 native2ascii라는 녀석인데, 그 동안은(2.0정식이 나오기 전까지는) maven2팀에서 해결해줄지도 모른다는 기대를 갖고, ant-nodeps에 의존성을 걸고 maven-antrun-plugin을 돌리는 지저분한 방법으로 대충 해결했었다. ... ... ant ant-nodeps 1.6.5 compile ... ... org.apache.maven.plugins maven-antrun-..
Java 5.0 에 enum문법이 새로 추가되었는데, 그래도 21세기 인지라 예전 C/C++의 enum이 아니다. public enum Operation { PLUS {double eval(double x, double y) {return x + y;}}, MINUS {double eval(double x, double y) {return x - y;}}, TIMES {double eval(double x, double y) {return x * y;}}, DIVIDE {double eval(double x, double y) {return x / y;}}, abstract double eval(double x, double y); } 이런 enum 클래스를 만들어 놓고, 이렇게 써먹을 수 있다: for..
썬이 이름도 요상한 ?JDesktopIntegrationComponents(JDIC)프로젝트를 만들었다. 이름만 봐썬 뭘하는 건지 통 모르겠는데, 스샷을 보니: 네이티브 브라우저(IE나 Mozilla겠지)를 자바 어플리케이션에 내장한다거나, 네이티브 메일 클라이언트를 실행시킨다거나, 파일유형에 맞는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거나... JNLP 어플리케이션을 RPM, ?SVR4, MSI 설치 패키지로 만든다거나... 썬의 행동이 늘 그렇듯, 항상 정확한 의도가 파악이 안되지만, 그 행동들은 대개 전략 부재의 산물이었음이 증명되곤 한다.
http://homepage.mac.com/spullara/rants/C1464297901/E1994239229/index.html http://www.theserverside.com/news/thread.tss?thread_id=25907 Java 1.5에 추가된 Generics 문법보다는 컴파일러가 Autocasting을 지원하는 것이 더 낫다는 주장. 내 생각과도 일부 일치한다. 다만 나는 Autocasting 조차 원치않는다. 캐스팅을 직접 해주는 것이 뭐가 어때서? IMHO, Generics(C++의 템플릿에서 가져온)는 ?EvilAxis 다. 내가 C++을 떠난 이유 중의 하나가 그것이었다.
?JAVA는 내가 알고 있는 가장 쓸만한 ?ProgrammingLanguage다. 그래도 인간의 욕심은 - 하나를 얻으면 둘이 갖고 싶은 - 끝이 없다. 지금 Java 1.5에서 1.2 이후 최대의 변신을 시도하고 있다. :-D 1.0에서 1.1로의 변신은 어쩔 수 없는 변신이었고, 1.1에서 1.2의 변신은 좀 더 추상적이고, 큰 그림의 변신었다면, 이번 1.5에서의 변신은 개발자에게 직접와 닿는 변신이다. 구체적으로 보면: JSR-14 Add Generic Types To The Java Programming Language JSR-201 Extending the Java Programming Language with Enumerations, Autoboxing, Enhanced for loops a..
스스로의 코드를 돌아 보자. ?Perl과 ?Python과 ?PHP의 현란한 ?RegularExpression으로 모든 걸 해결하고 있지 않은가? while은 제 자리를 돌고 있나? switch는 마실나가고 elseif사다리를 타고 있지는 않은가? 내가 쓰고 있는 천하무적 팔방미인 프로그래밍 언어의 스트링 구현을 알고 있나? 힙 할당 전략을 알고 있나? 패턴과 컴포넌트가 넘쳐나는 세상인데, 무슨 그런 시시콜콜한 소리를 하느냐고? 그러면, 성능을 얘기하지 말고, 생산성을 얘기하던가... 그거라면, 동네 북 Java에게도 할 말이 많다. 좀 다른 얘기지만, 시작한 김에 떠들어 보세! 내가 좋아하는 어떤 개발자는 성능을 위해 설계를 고치지 마라. 성능은 시간이 해결해준다고 했다. 덧붙여 이런 말도 했다. 설계할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***1/2
- Java
- CSS
- 자바스크립트
- webapp
- 자전거
- jQuery
- 노래
- 영화
- Eclipse
- nodejs
- HTML5
- 독후감
- 땅끝마을
- Dojo
- **
- docker
- JavaScript
- DeveloperWorks
- 여행
- web
- 해남
- 장필순
- Ajax
- ***
- ****
- Prototype
- 책
- maven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